안녕하세요 인자한 Dr. 화입니다.
오늘 소개시켜드리고 싶은 기업은 시가총액 Top 15안에 들어와 있는 POSCO홀딩스입니다. (아마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모르려야 모를 수 없는 건실한 대기업이지요)
아래와 같은 순서로 소개해드리겠습니다.
1. 기업의 개요
2. 사업 부문
3. 업종 전망
4. 재무제표
1. 기업의 개요
포스코는 1968년 설립이래 54년 만에 (민영화 21년만에) 2022년 2월 지주회사인 포스코홀딩스를 출범시키며 체재를 개편하였습니다. 기존 포스코에서 철강사업을 떼어내 비상장 자회사를 만드는 물적분할 방식을 진행하고, 철강사업을 떼어낸 기존 포스코는 지주사인 포스코 홀딩스로 남게 됩니다. 이에 포스코 홀딩스는 포스코(100%), 포스코 케미컬 (59.7%), 포스코 인터내셔널 (62.9%), 포스코 에너지 (89%), 포스코 건설 (52.8%) 등 34개의 계열사를 거느리는 지주사가 되었습니다. 이제 포스코 홀딩스는 신사업 발굴, 그룹 투자 관리 등을 맡게 됩니다.
2. 사업 부문
포스코 홀딩스는 열연, 냉연, 스테인리스 등 철강재를 단일 사업장 규모로 세계 최대 규모인 포항제철소와 광양 제철소에서 생산하고 있으며 철강산업 매출은 53%, 무역부문 33%, E&C 부문 8 %, 기타부문 5%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3. 업종 전망
21년도에는 철강 업황의 호황으로 매출 76.3조원 (+32.1%), 영업이익 9.2조 원 (+284.4%)를 기록하며 사상 최대 실적을 냈는데, 이는 코로나 이후 철강재 수요의 급격한 회복에 의한 영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2022년인 올해 역시 철강 수요는 이어질 전망이라 작년만큼 급격하지는 못해도 견고하게 실적을 내는데 무리가 없다고 전문가들은 말하고 있습니다.
또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글로벌 열연가격이 지난 한 달새 미국/유럽 쪽은 40%, 한국은 15%가량 상승하였고, 장기적으로 탈탄소화 트랜드에 따른 원가상승 및 에너지 전환 관련 수요 증가가 가격지지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4. 재무제표
포스코 홀딩스의 재무제표를 살펴보니 제가 좋아하는 요소를 골고루 가지고 있더라고요. 우선 코로나 시기를 거치면서도 매출 및 영업이익에 적자가 없습니다. 그리고 영업이익률이 낮지 않고, 부채 비율이 100% 이하일 뿐만 아니라 PER과 PBR 지표도 매우 좋네요. 그리고 무엇보다 엄청난 배당금에 놀랐습니다. 대략 현재기준으로 하면 5.8% 수준으로 일반 은행 저축 금리보다 훨씬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물론 기준금리가 오른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저희는 모두 알고 있지 않습니까? 대출금리보다 저축금리가 늦게 오르고, 아무리 올라봤자 저축금리 5%까지 올라오기는 쉽지 않다는 것을...)
※특정 투자종목의 추천이 아니며, 모든 투자에 대한 판단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분석] BGF리테일 (코스피282330) (0) | 2022.04.22 |
---|---|
[미국기업분석] 미국 농기계 제조회사 디어앤컴퍼니(DE) (0) | 2022.04.20 |
[기업분석] 나이스디앤비(코스닥 130580) (0) | 2022.04.02 |
[미국기업분석]의료용 로봇 장비 1위회사 인튜이티브 서지컬(ISRG) (0) | 2022.03.30 |
[기업분석] 한솔 케미칼 (코스피 014680) (0) | 2022.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