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인자한 Dr. 화입니다.
오늘 살펴볼 기업은 한솔케미칼 입니다.
라텍스, 과산화수소, PAM, 차아 황산소다, 전자재료 및 기타 화공약품 등을 판매하는 회사로 크게 반도체 (과산화수소, 프리커서, 특수가스) 디스플레이 (QD), 2차 전지 (음극재 바인더), 제지 및 환경 (라텍스 등) 사업 분야로 나뉘어 있습니다.
한솔 케미컬은 범 삼성가로, 최대 주주인 조동혁 회장은 삼성그룹 故이병철 창업주의 장녀 故이인희 한솔그룹 고문의 장남입니다. 기존 퍼 록사이드라는 회사로 시작하여 다양한 회사를 인수하며 여러 번 사명을 변경한 끝에 현재 한솔 케미컬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처음 과산화수소 사업을 통해 화학회사로 시작하였고, 반도체 산업에 사용되는 초고순도 과산화수소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며 회사를 성장시켰습니다. 그 뒤 과산화벤조일 및 차아 황산소다 등을 개발하고, 라텍스 공장을 건립하며 제지 약품 전문기업으로 성장하였습니다.
매출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과산화수소는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생산 공정에서 사용되는데, 한솔 케미컬이 국내 초고순도 과산화수소 시장의 80%를 점유하고 있습니다. 해당 생산 물량은 분기별로 1000톤씩 늘어나고 있습니다.
2000년 대 초반부터는 성장성이 높은 전자소재사업에 진출하며, IT제품의 UV 경화용 도료업체인 대영고분자 (이후 한솔 씨엔피)를 인수하고 IT 코팅소재 사업을 통해 전자소재 제품으로 사업영역을 확장시켰습니다. 2007년에는 박막재료 분야인 프리커서 사입을 시작하고, 2010년에는 LCD 패널에 적용되는 전극 보호 제품을 승인하는 등 그 역량을 확장시켜 왔습니다.
프리커서는 박막을 웨이퍼에 붙일 때 필요한 소재로, 반도체 초미세화로 프리커서 수요도 함께 성장하여 삼성전자의 신공장의 증설에 대한 수혜를 받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특히 전자소재 사업이 성장하며 한솔 케미컬의 주력사업으로 자리 잡게 되면서 회사의 시총이 급격한 상승을 하게 되었습니다. 2010년 2000억에 불가했던 시가총액이 무려 2015년에는 1조 원을 넘어섰습니다.
LCD 패널용 전극 보호제 개발 이후 OLED 패널용 층진 레진 상업화 및 하이프리드 타입 레진 개발 등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레진 사업은 연평균 60% 이상 성장하였습니다. 또한 세계 최초로 친환경 QD (Quantum dot) 양산 설비를 구축하여 QD 생산 및 공급에 압도적인 우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기존 사업부가 탄탄하게 성장하는 상황 속에서 음극재를 중심으로 하는 2차 전지 소재주로서 도약을 하고 있습니다. 일본업체들이 독점하던 2차전지 바인더를 2018년 국산화에 성공시키며 삼성 SDI와 SK이노베이션에 탄소 음극용 수성 바인더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사실 2차 전지 원가에서 바인더는 2% 내외의 비중을 차지하여 그 동안 주목받지 못했지만 2차전지 시장 자체가 비약적으로 성장하면서 바인더 수요 역시 크게 증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또한 실리콘 음극재 사용이 대두되면서 해당 사업에 850억 원을 투자하여 익산공장에 생산설비를 마련해 시장에 2023년부터 공급할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주요 재무정보를 보면, 매출액과 영업이익률이 꾸준히 상승하였을 뿐만 아니라 영업 이익률 역시 25%를 넘어서고 부채비율을 낮아지는 탄탄한 재무 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주당 순이익인 EPS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주주친화적으로 배당금 역시 꾸준히 상승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요즘같이 시장이 급변하는 국면에서 이렇게 재무가 튼튼하며 사업을 꾸준히 성장시키는 회사를 관심 갖고 지켜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특정 투자 종목의 추천이 아니며, 모든 투자에 대한 판단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분석] 나이스디앤비(코스닥 130580) (0) | 2022.04.02 |
---|---|
[미국기업분석]의료용 로봇 장비 1위회사 인튜이티브 서지컬(ISRG) (0) | 2022.03.30 |
[미국기업분석] 미국 희토류 채굴기업 MP머티리얼스(MP) (0) | 2022.02.28 |
[기업분석] 솔브레인 (코스닥 357780) (0) | 2022.02.11 |
[기업분석] 유진테크(코스닥 084370) (0) | 2022.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