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분석

[기업분석] 맥쿼리인프라(코스피 088980)

Dr.화 2022. 7. 5. 22:47

안녕하세요 인자한 Dr.화입니다. 

 

오늘소개시켜드리고 싶은 종목은 인프라펀드인 맥쿼리인프라(MKIF) 입니다.

 

 

아래와 같은 순서로 소개해드리겠습니다.

 

1. 기업의 개요
2. 사업 부문
3. 업종 전망
4. 운용 성과

 


1. 기업의 개요

 

맥쿼리인프라는 2002년에 설립되어, 2006년에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 대한민국의 인프라 자산에 투자하는 상장인프라 펀드입니다. 즉, 국내의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민간투자법("민투법")에 정의된 국내 사회기반시설사업(인프라사업)의 시행을 목적으로 하는 법인을 설립하여 투자를 합니다. 

 


2. 사업 부문

 

맥쿼리의 비지니스 모델은 사회기반 시설에 대한 투자를 함으로써 수익을 냅니다. 그럼 사회기반시설에 어찌 투자를 할까요.

 

예를들어 정부가 도로를 건설한다 하면 세금으로 다 매워서 건설하고 운용을 할 수도 있지만 그렇게되면 부담이 커지기 때문에 민간 기업이 건설에 대한 투자를 하게되면 일정 기간에 대한 운용의 권리를 제공합니다. 하지만 민간 기업에서 투자를 했는데 마이너스가 경우, 정부에서는 마이너스 수익에 대한 보조를 해주고, 반대로 초과 수익률을 달성했다면 정부와 수익에 대한 재분배를 합니다. 

 

그렇다면 투자는 어떤식으로 진행이 될까요?

아래 비지니스 모델에 대한 그림을 보시면, 현재 맥쿼리 인프라는 총 17개 자산에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맥쿼리가 투자를 한다고 하면 직접적으로 투자를 하는 것이 아니라 MKIF 투자법인을 설립하고, 해당 법인에 투자하여 건설하는 형태로 사업을 시행합니다. 여기에 맥쿼리인프라가 해당 법인의 지분을 100%인수하거나 일정부분 인수하여 대출해주는 형태로 사업구조가 이루어져있으므로, 투자에 대한 이자로 수익이 생기는 형태입니다. 

 

현재 맥쿼리 인프라는 국내인프라사업에 총 2.3조원을 투자 중이며, 투자 형태는 주식(25.3%), 후순위 대출(71.4%), 선순위 대출(3.3%)로 구성되어있습니다. 

투자형태 중 후순위 대출의 비중이 높은 것을 눈여겨 볼 수 있는데요. 후순위대출이라고 하면, 추가적으로 대출받아야 하는 부분에 추가로 대출을 해주는 형태이기때문에 권리관계에 있어서는 변제 우선 순위가 하위이기때문에, 위험성이 크지만 금리가 높아 수익성은 더 높게됩니다. 후순위대출의 형태로 대출을 해주는 이유는 정부에서 일정수준의 수익을 보장해주는 형태이기때문에 후순위대출로 투자를 진행하는 것입니다.  

 

 

 

맥쿼리 인프라 비지니스 모델 (사업구조)

 

반응형

3. 업종 전망

 

- 리스크

 

앞에서, 맥쿼리인프라에서 투자를 해서 건설을 하게 된다면 일정 기간동안 운용 권리를 가져갈 수 있다고 언급을 하였습니다. 그리고 그 기간동안 정부가 수입보장을 해주기도 한다고 언급했습니다. 그렇다면 위 포트폴리오가 어느 기간동안 보장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왜냐하면 수입보장기간이 만료되게 되면, 운용수익률에 대한 리스크가 생기기 때문입니다.

 

투자법인 운영 및 실시협약기간

현재 2022년 기준으로 5년 뒤에 정부수입보장기간에 있는 8개의 사업 중 5개의 사업이 만료가 됩니다. 그로부터 15년 뒤에는 17개의 사업 중 8개의 사업이 협약기간 마져 만료가 되는 상황입니다. 

 

이를 대비하기 위해 맥쿼리 인프라에서는 동북선 도시철도를 새롭게 투자하기로 했지만, 앞으로 만료되는 사업에 비하면 턱없이 부족해 보입니다. 미래를 대비해서 새로운 투자사업을 발굴해야하지 않을까 싶지만, 저출산, 저성장으로 가는 시대에 맥쿼리인프라에서 좋은 사업에 투자가 가능할지는 미지수라고 봅니다. 

 

- 고배당 

 맥쿼리 인프라는 상반기, 하반기로 일년에 두번 배당을 지급합니다. 배당 성향이 강하다보니 현재 주가 12000원대로 비교를 해보면 약 5프로의 배당수익률을 가져갈 수 있습니다. 

이런 배당성향이 강한 주식들을 요즘처럼 금리가 인상되는 시점에서는 가격하락의 위험성이 있는데요.  근 6개월동안 14000원대를 유지해오다가 6월에 들어 급격한 하락을 맞이하였네요. 이번 하락이 금리의 영향이라고 단정짓기에는 하락에 대한 요인이 여러가지가 있으니 장담해서 말을 하진 못하겠습니다. 앞서 맥쿼리 인프라의 사업 종료시점에 대해 얘기를 했지만 그래도 짧게는 5년 길게는 10년은 버틸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렇게 주가가 하락을 맞았을때 고배당 주를 눈여겨 본다면, 원금 손실의 위험도 적으면서 일정한 배당수익률을 가질 기회로 볼 수 있지 않을까요.

 

 

배당금 지급 실적

 

 


4. 운용성과

재무성과
재무상태표
투자법인별 운용성과

 

 

※특정 투자종목의 추천이 아니며, 모든 투자에 대한 판단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반응형